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ustomer

관련뉴스

  • [기사] 유아이패스, 플랫폼 업데이트…\\\'인공지능·거버넌스\\\' 기능 강화
    [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글로벌 엔터프라이즈용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유아이패스가 인공지능(이하 AI) 및 거버넌스 기능을 대폭 강화한 플랫폼 업데이트를 16일 발표했다. 기업 내에서 책임감 있는 AI 도입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돕는 별도 계획도 함께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AI 기능 탑재로 더욱 고도화된 유아이패스 플랫폼 '2023.4'는 단순 자동화부터 고급 자동화까지 넓은 자동화 범위를 제공한다. 또 시스템과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분석하기도 한다.이 외에도 오픈 AI,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AW등과 같은 외부 AI 모델과 결합이 가능하고 고도화된 로우코드 툴, 솔루션 액셀러레이터,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해 시민 개발자 및 개발자들이 자동화를 비즈니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유아이패스 최고 제품 책임자 그래햄 쉘든(Graham Sheldon)은 "AI는 자동화의 잠재력을 무한대로 증폭시키는 힘을 가졌다"라며 "우리 고객들은 유아이패스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엔터프라이즈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AI 에코시스템을 구축해 비즈니스 혁신을 달성하고 보안, 거버넌스, 규정 준수를 통해 책임감 있는 AI를 경험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업데이트된 유아이패스 플랫폼…특징은?회사는 우선 주요 AI 서비스 위한 커넥터 탑재로 AI기반 자동화 구축 및 확장을 큰 특징으로 꼽았다.유아이패스 플랫폼 23.4는 Open AI 커넥터가 탑재되어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지원하고, 텍스트 완성 및 채팅 기능을 제공한다. 구글 비젼, 마이크로스프트 비전, 마이크로소프트 센티먼트, AWS 세이지 메이커를 비롯한 주요 AI 서비스를 위한 커넥터가 탑재돼있다.클립보드 AI ™를 활용하여 소스 스프레드시트, 문서, 앱, 사진에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면 형식, 레이블, 데이터 규칙 등을 기반으로 붙여넣기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된다.그 다음 특징은 트리거 기반 어텐디드(Attended) 자동화 및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이다.유아이패스 스튜디오 웹은 크로스 플랫폼에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로우코드 빌드 플랫폼에 브라우저 기반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또 트리거 기반 어텐디드 자동화 (Trigger-based Attended Automation)는 사용자 특정 액션을 기반으로 자동화를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콜아웃 기능을 통해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지 않고도 기존 소프트웨어 제품군에 문자 또는 숫자 제한 등과 같은 사용자 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유아이패스 앱스(Apps)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폴더에 배포할 수 있고, 공용 앱을 위한 새로운 라이선싱 모델이 포함됐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비주얼 베이직 닷넷'(Visual Basic. NET)이 새롭게 추가됐다. SAP사용량과 테스트 결과 등 SAP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SAP히트맵 기능이 제공된다.유아이패스는 자동화 클라우드 로봇 및 AKS/EKS로 엔터프라이즈 거버넌스 및 관리 향상 기능도 주요 특징으로 제시했다.소프트웨어 로봇이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을 라이브 스트리밍하고, 원격으로 제어한다. 검토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세션 마지막 몇 분을 녹화한다.이 밖에 디버깅을 위한 타사 툴 이용에 드는 비용을 절감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유아이패스 자동화 클라우드 로봇을 사용한다. 자체 라이선스 도입, 자동 가상 머신 풀(Virtual Machine Pool)등을 활용할 수 있다. AKS(Azure Kuberentes Service) 및 EKS(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를 기반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및 고객 관리형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자동화 스위트를 배포할 수 있다.마지막 특징은 자동화 기회 발굴 및 운영 지원 서비스다.유아이패스 플랫폼을 활용해 투자자본수익률(ROI) 측면에서 자동화 기회를 발굴하고, 예상치와 실제 결과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고 전했다. 패키지형 기술 문서, 워크플로 및 모델을 지원하는 솔루션 액셀러레이터를 통해 검색, 설계 및 개발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기도 한다.또한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 및 맞춤형 안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등 고품질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원활한 자동화 확장 및 운영을 돕는다. 특히 유아이패스 엔터프라이즈 석세스는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사전 예방적 접근을 취하고자 하는 조직에 적합하다.영국 냇웨스트 그룹 RPA 및 분석 부분 부사장 마노지 바트라(Mannoj Batra)는 "유아이패스 스튜디오 웹은 빠르고 다재다능한 도구로, 지식이나 기술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직접 크로스 플랫폼 자동화를 쉽게 구축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고 설명했다.-기사 전문: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3051613555360301출처: 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seeall@ddaily.co.kr
    2023-05-30
  • [기사] 유아이패스, “자동화로 번아웃 예방, 가능하다”
    전세계 자동화 설문결과 발표…자동화 세대 생성 가속유아이패스가 전세계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비즈니스 자동화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번아웃을 해결하고 업무 성취감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자동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이번 조사에서 전세계 근로자의 28%는 최근 6개월 동안 해고, 고용동결로 인해 지원·리소스 대비 과도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답했으며, 29%는 번아웃을 느낀다고 답했다. 업무과중 현상과 이로 인한 근로자의 부담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사진=게티이미지]유아이패스는 업무과중은 인공지능(AI) 툴을 활용해 안도감을 얻는 ‘자동화 세대’의 탄생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풀이했다. 유아이패스가 정의하는 자동화 세대란, 연령이나 인구 통계학적 요소와 별개로 AI와 자동화 도입을 통해 협업과 창의성,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는 직무 전문가를 말한다. 이번 조사에서 자동화 세대의 근로자 중 87%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와 지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83%는 업무자동화 솔루션이 번아웃을 해결하고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답했다.또 응답자의 31%는 이미 직장에서 비즈니스 자동화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57%가 비즈니스 자동화를 통해 근로자를 지원하고 조직 운영을 현대화 하는 고용주를 선호한다고 답했다.자동화 자동화 활용 분야로는 데이터 분석(52%), 데이터 입력/데이터세트 생성(50%), IT/기술 문제 해결(49%), 보고서 작성(48%) 등이 꼽혔다.다른 한편으로, 연령별로 보면 보다 젊은 세대에서 AI 기반 자동화에 대해 긍정적 수용을 나타냈다. Z세대(69%), 밀레니얼 세대(63%), X세대(51%)의 절반 이상이 자동화가 업무효율성과 생산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것, 이와 달리 베이비 붐 세대의 경우 44%에 그쳤다.-기사 전문: https://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047출처: IT비즈뉴스(ITBizNews)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
    2023-05-30
  • [기사] 유아이패스, 글로벌 근로자 ‘자동화 세대’로 전환
    유아이패스가 전 세계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비즈니스 자동화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조사결과 응답자의 60%는 자동화를 통해 번아웃을 해결하고 업무 성취감 향상시킬 수 있다고 답했다. 57%는 비즈니스 자동화를 통해 근로자를 지원하고 조직 운영을 현대화하는 고용주를 선호했다.근로자의 28%는 최근 6개월 동안 해고 또는 고용동결로 인해 지원 및 리소스 대비 과도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답했다.또한 전 세계 직장인 4명 중 1명(29%)이 번아웃을 느낀다고 답할 정도로 업무 과중 현상이 근로자들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근로자들이 AI 도구에 의존해 안도감을 얻는 자동화 세대가 탄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동화 세대는 연령이나 인구 통계학적 요소와 관계없이 AI와 자동화 도입을 통해 협업 및 창의성,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는 직무 전문가를 말한다. 자동화 세대 직장인들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일과 삶의 균형을 지키며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 마치 로봇처럼 일하는 문화를 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31%는 이미 직장에서 비즈니스 자동화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동화 세대의 근로자 중 87%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와 지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83%는 업무 자동화 솔루션이 번아웃을 해결하고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고 답했다.이번 설문조사는 8개 국가(미국, 일본, 독일, 인도, 영국, 프랑스, 호주, 싱가폴)의 근로자 6,46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1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됐다.-기사 전문: https://zdnet.co.kr/view/?no=20230524093934출처: ZDNet Korea 남혁우 기자 firstblood@zdnet.co.kr
    2023-05-30